본문 바로가기
  • 저는 지금 달리는 중입니다
728x90
반응형

건강 일반 health/건강검진 health examination14

[건강검진 정보] 5. 요검사_단백뇨, 요단백 결과지 판독 이번에는 건강검진에서 기초검사로 시행되는 요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요검사란? 요검사는 이른바 소변검사로 기본적인 검사이지만소변에서 단백질 검출 여부를 보고신장 기능 이상이나 기타 요로계 질환에 대한 판단이 가능한 효율적인 검사입니.  소변은 필요없는 노폐물을 우리 몸에서 모아서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로혈액이 신장을 통과하면서 노폐물이 걸러진 후 방광에 모였다가 배설이 됩니다. 오리 몸의 여러 구성물들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는 결과가 소변이기 때문에 우리 몸의 건강 신호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실제로 소변을 통해 아래 질환을 선별할 수 있습니다.  요로 감염 등의 콩팥 및 비뇨기과 질환내분비 질환대사성 질환전해질 이상  소변에서 단백질이 검출되는 것을  "요단백"이라고도 하는데요, 쉽게 말해서 단.. 2024. 7. 10.
[건강검진 정보] 4. 흉부방사선촬영 검사 (x-ray) 결과 해석_폐암검사주기 오늘은 국가에서 시행하는 기초적인 건강검진 중에흉부방사선 촬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흉부 방사선 촬영이란? 흉부 방사선 촬영이란, 방사선을 이용하여가슴 쪽 질환을 선별하기 위한 이미지를 얻기 위한 검사로건강검진의 기본적인 영상검사입니다.  흉부 방사선 촬영은 흉부 X선, 엑스레이 검사, 엑스선 검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X선을 이용하여 흉부를 촬영하며, 폐 혹은 심장 관련 이상 병변, 질환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아주 간편한 영상 검사입니다.  흉부 방사선은 흉부 촬영으로 진행되며,  원칙적으로는 폐결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하지만 폐만 찍는 것은 아니고 광범위한 흉부를 촬영하기 때문에 폐결핵 외의 질환도 판별이 가능합니다.  폐, 심장, 종격동, 횡경막, 쇄골, 늑골, 흉.. 2024. 7. 9.
[건강검진 정보] 3. 신체계측 항목별 정상수치, BMI 기초검사_비만 여부 측정, 성인병 기초 진단 오늘은 국가건강검진 시에 기본으로 시행하는신체계측 검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신체계측 검사항목국가건강검진 시 신체계측 검사항목에는신장(키), 체중(몸무게), 허리둘레, 혈압, 시력, 청력이 있습니다  2. 신체계측을 하는 이유신체계측을 하는 이유는 현재의 신체상태를 평가하고, 지속적인 건강검진(최소 1년에서 격년 주기)을 통해 신체변화를 관찰하고, 표준 신체와의 나의 신체와의 차이 비교를 통해 어떤 점이 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유전적이거나 환경적 요인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1) 먼저, 키와 몸무게 측정, 허리둘레를 측정하는 것은흔히 BMI (Body Mass Index) 계측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키와 몸무게를 통해 체질량지수 계산하여 전체적인 비만 여부를 측정하고,허리둘레 측.. 2024. 7. 6.
[건강검진 정보] 2. B형 간염검사 세계에서 가장 흔하면서 심각한 형태의 질병인 B형 간염은 간기능상실, 간경화, 간암 등으로 이어지는데, 혈액검사로 검사로 비교적 쉽게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에서 혈액검사 비용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1. B형 간염검사란? B형 간염의 보유 여부나 항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혈액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검사 결과 B형 간염 보유로 확인되면 간암 고위험군에 해당하여 간암 검진 대상이 됩니다. 2. B형 간염검사 방법 혈액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가건강검진에서는 40세가 되는 해에 실시하며(일생 1회), B형 간염 보균자나 면역자는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혈액검사를 통해서는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V surface antigen, HBsAg) 여부를 확인합니다... 2024. 7. 2.
[건강검진 정보] 1. 짝수년, 홀수년 건강검진 대상자 기준, 검진항목 나날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요즘, 국가에서 지원해 주는 건강검진 제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래의 건강검진 비용은 무료입니다. 1. 국가건강검진의 시작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짝수년, 홀수년 출생 연도에 따른 건강검진은 "건강검진기본법"(2020.8.11. 제정)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요, 건강검진기본법은 건강에 대한 국민의 권리 및 의무, 국가 및 지자체의 책임에 대한 기본 사항을 규정하여 국민의 보건 및 복지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2. 국가건강검진의 종류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건강검진은 간단히는 1) 일반 건강검진 2) 암검진 3)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각각의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일반 건강검진: 20세부터 64세까지 세대주 및 .. 2024. 5. 28.
728x90
반응형